취업난이 이어지고 많은 20대 분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는 반면에 2022년부터 수많은 청년 지원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모르고 있다가 신청을 안하면 받을 수 없는 정책들이기 때문에 무조건 아래의 내용을 저장해 두시고 해당되는 지인분들이 있다면 공유하시고 지원해 보시기 바랍니다.
1.청년 취업 지원금
- 만 19세~34세 청년 구직자
- 중위소득 120% 이하, 이전에 취업 경험이 없어도 됨
- 총 자산이 4억원 이하여야 함
만 19세에서 34세 청년 구직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청년 취업 지원금. 지역에 상관없이 중위소득 120% 이하의 총 자산이 4억원 이하이면 누구나가 가능합니다.
2.청년 희망 적금
- 만 19세~34세 청년 근로자
- 총 급여가 연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이 2,400만원 이하여야 함
- 1년형은 총 납입액의 연 2%, 2년형은 연 4% 수준의 저축 장려금이 추가
단, 월 50만원씩 2년 만기 저축시에는 4% 정도의 저축 장려금(약 36만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신청 방법은 각 은행 어플로 접속하시거나 오프라인으로 주거래 은행에 방문하셔서 문의하시면 됩니다.
3.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 만 19세~34세 청년, 독립거주중인 무주택자
- 본인 소득이 중위소득 60%이하, 부모님 소득이 중위100% 이하여야 함
- 대상 주택명의가 부모님, 형제자매 등의 가족 소유인 경우는 신청이 불가함
월 20만원씩 최대 12개월에 총 240만원까지 월세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4.청년전용 보증부월세 대출
- 만 19세~34세 청년, 무주택 세대주
- 신청인과 배우자의 총 합산 소득이 연 5,000만원 이하
- 순 자산가액이 2.92억 이하이고 보증금의 5%이상을 지불했을 경우 신청이 가능
월세 20만원 한도 내에서 무이자 보증금 대출 이자가 연 13%입니다. 신청방법은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5.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 만 19세~34세의 무주택 세대주
- 신청인과 배우자의 총 합산소득이 7,000만원 이하여야 함
- 순 자산가액이 2.92억 이하이면서 보증금의 5%이상을 지불한 경우 신청이 가능
청년 맞춤형 전세 대출은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34세가 될때까지 계속 연장이 가능한 전세 대출입니다.
6.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 만 19세~34세 청년
- 본인 부담금 10%만 지불하면 됨
- 그외의 다른 소득이나 재산의 조건은 없음
월 20만원씩 3개월 간 심리 상담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원해 줍니다. 소득기준없이 누구나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세요.
7.청년 내일 저축계좌
- 만 19세~34세 청년
- 일을 하고 있어야 하고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함
- 대도시 기준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의 재산을 소유해야 함
매달 10만원씩 3년을 저축할 경우 정부지원금을 포함하여 최대 1,44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거주지내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8.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만 19세~34세 청년 근로자
- 연봉 5,000만원 이하여야 함
- 연간 납입한도는 최대 600만원이고 3~5년 만기임
3년 만기를 기준으로 수령시 원금인 1,800만원에 투자수익과 최대 720만원의 소득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상품을 취급하는 증권사에 신분증, 소득금액 증명서, 병적증명서 등을 지참해서 방문하셔서 신청하시거나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금액 증명서는 국세청 홈택스 또는 정부24에서 발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생각보다 많은 청년 지원정책들이 있습니다. 물론 이를 모르고 신청을 안하면 나만 손해겠죠? 주위에도 해당되는 분들이 있다면 공유해 주시기 바랍니다.